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모텍 투자관련 최근이슈 정리... 투자의견
    (주식) 개별 종목 관련 2022. 9. 5. 11:24
    728x90
    반응형

    ▣ 아모텍 투자관련 최근이슈 정리... 투자의견

     

    ■ 아모텍  주가 및 챠트 의견

    아모텍 주가는 

    챠트상 240일선을 두세차례 돌파하고 하락하고 반복하는 중으로 이평선 밀집되면서 장기적으로

    추세상승의 터닝 포인트 지점정도에 있는 것 같다.

    단기적으로는 장기 이평선들 맞고 다시 밀리고 있으니 60 선 근처(24000원) 쌍바닥 잡는 것 확인하면 

    긴호흡으로 접근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고 관심조목 편입 시작.

    아모텍은 3분기에 적자 지속하고 4분기에나 흑자 난다는 의견이 지배적임.

     

     

    ■ 아모텍 최근이슈 정리 (최근순)

     

    /IBK투자증권에서 31일 아모텍(052710)에 대해 "Turn around! 10분기만에 영업 흑자전환"라며 투자의견을 'BUY'로 제시하였고, 아울러 목표주가로는 35,000원을 내놓았다.

     

    [IBK투자증권 투자의견 추이]

    - 2022.08.31 목표가 35,000 투자의견 BUY

    - 2022.07.25 목표가 35,000 투자의견 BUY(유지)

    - 2022.05.25 목표가 40,000 투자의견 BUY(유지)

    - 2022.04.13 목표가 35,000 투자의견 BUY(유지)

     

    [전체 증권사 최근 리포트]

    - 2022.08.31 목표가 35,000 투자의견 BUY IBK투자증권

    - 2022.08.17 목표가 43,000 투자의견 BUY(유지) 하이투자증권

    - 2022.08.08 목표가 37,000 투자의견 BUY(유지) SK증권

     

    /최대주주는 김병규 외(27.49%), 주요주주는 앨트웰텍(11.72%), 국민연금공단(7.57%), 미래에셋자산운용(10.12%) Update : 2022.05.25

     

    /종합 소재·부품 기업 아모텍(052710)은 최근 한 달 사이 15.16% 올랐다. 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사업 관련 매출이 3분기부터 확대되며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동주 SK증권 연구원은 “3분기부터 중국 전기차 업체와 국내 통신 장비 업체로 MLCC 제품 생산을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북미 전기차 업체향으로도 공급 협의 중”이라며 “내년에는 유럽 통신 장비 업체향 공급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며 프로모션을 진행 중인 전장 부품, 반도체, 의료 장비, 방산 쪽에서도 의미 있는 고객사가 확보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SK증권 이동주 애널리스트가 작성한 아모텍 리포트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다.

    아모텍, 목표가 15%↑ 3만7000원 제시

    ▶ 3분기부터 중국 전기차 업체, 국내 통신장비 업체로 MLCC 제품 생산 개시
    ▶ 하반기 북미 전기차, 내년 전장부품, 반도체, 의료장비, 방산향 고객 저변 확대
    ▶ 2023년부터 이익 기여 가능. 대량 양산시 확보 가능한 마진은 20% 이상으로 추정

    /고의영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아모텍이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양산의 9부능선을 넘어선 상태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3월 중국 업체향 MLCC 양산이 시작됐으나, 관련 매출은 분기 3억원으로 미미하다”며 “올해 3분기 계획돼 있는 글로벌 업체향 대량 양산이 변곡점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 총 13 개의 양산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데, 5월, 6월, 8월에 걸쳐 순차적으로 승인받을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번 대량 양산은 레퍼런스 확보 차원에서 중요하다. 제품 신뢰성이 검증됐다는 의미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라며 “현재 유럽 장비사, 전장부품·전기차 업체, 반도체 업체 등으로부터 다양한 MLCC를 샘플 테스트 받고 있는데, 앞선 레퍼런스에 따라 제품 승인 절차가 앞당겨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올해 1분기 양산시 올해 매출액 700억원 수준이예상됐지만 현재 본격적인 양산시점은 3분기로 밀린 상황”이라며 “올해 매출액은 200억원 수준으로 낮춰봐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계획에 차질이 없다면 2023년 매출액은 700억원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아울러 그는 “2024년에는 1300억원 이상의 매출액을 거두며 레벨업을 거둘 것”이라고 평가했다.

     

    / 아모텍, 북미 글로벌 전기차 뚫었다...MLCC 첫 공급 

     

    /▶ 나영호 어드바이저
    아모텍(052710)
    - 스마트폰 우려 대비 매출 견조
    - MLCC 업황 개선 기대
    - 흑자 전환 기대 유효

     

    /아모텍, 지난해 4분기 연결 영업손실 96억...적자지속

    매출액은 21% 감소한 484억8356만원, 지배지분 순이익은 흑자전환한 62억9458만원이다.

    지난해 별도기준 4분기 매출액은 409억8589만원으로 전년대비 27.1%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83억66만원으로 전년대비 적자를 지속했다.
    순이익은 79억4577만원으로 전년대비 흑자전환했다.

     

    /공정위는 10개 중소하도급 업체에 기술자료를 요구하면서 목적 등이 기재된 서면을 사전에 교부하지 않은 아모텍에 대해 과징금 1600만원과 함께 시정명령(재발방지)을 부과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삼성전자 1차 협력사로 안테나 부품 등을 제조·판매하는 아모텍은 2016~2018년까지 10개 중소업체에 구두 또는 전자메일 통해 기술자료 38건을 요구하면서 권리 귀속관계, 비밀유지 사항, 대가 등을 정한 서면을 제공하지 않았다. 아모텍이 요구한 것은 휴대폰에 들어가는 NFC/WPC/MST 일체형 안테나 및 4G(LTE) 신호 송수신 안테나 관련 기술자료였다. 

     

    /종합 소재·부품기업 아모텍은 최대주주인 김병규 회장이 약 50억원 규모의 주식 16만주를 장내매수했다고 

    김병규 회장의 개인 보유지분은 177만2000주(18.19%)로 늘었다.

    아모텍은 자동차 전장부품 및 IT 제품에 적용되는 주요 칩, RF 안테나 및 BLDC(Brush Less Direct Current) 모터 등을 생산해 삼성전자 및 현대차 등 글로벌 주요 IT 및 전장부품 기업에 공급하고 있다. 또 추가 성장동력으로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 제품을 개발해 글로벌 통신장비업체 및 반도체/자동차 전장업체 등의 공급을 준비하고 있다.

     

    /아모텍은  3분기 매출액 496억원(전년비 -17.9%), 영업이익 -51억원(적자지속), 순이익 -38억원(적자지속)을 각각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MLCC 대장주 삼성전기…삼화콘덴서, 아모텍 등도 눈길

     

     

     

    ■ 아모텍 최근 블로그글  및 뉴스

     

    https://blog.naver.com/minhs55/222863686519

     

    아모텍 2022.3분기 영업이익 흑자 전환?

    송파동 현인 불너구리 님 채널 펌 아모텍 3분기 업데이트입 보고서 제목 그대로 3분기는 10분기만에 영업흑...

    blog.naver.com

     

    아모텍, 생산설비 풀가동.."전장용 MLCC 사활" (daum.net)

     

    아모텍, 생산설비 풀가동.."전장용 MLCC 사활"

    지난 11일 인천 남동공단 아모텍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생산동. 여름 휴가철인 게 무색할 정도로 MLCC 모든 생산 설비가 풀가동 중이었다. 반도체 생산라인에 버금가는 클린룸 조성 환경도 눈에

    v.daum.net

     

    아모텍 IBK 김운호 애널 코멘트 & 리포트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아모텍 IBK 김운호 애널 코멘트 & 리포트

    https://t.me/unokim88 <IBK투자증권 김운호 연구원 텔레그램> 오늘 아모텍 리포트와 함께 올라온...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