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앞으로 부동산 시장 전망& 현재 주식시장 하락은 ? (이종우)
    (부동산) 투자 관련 2022. 6. 20. 19:28
    728x90
    반응형

    (67) [홍사훈의 경제쇼] 이종우ㅡ무섭게 떨어질 부동산&칼날이 떨어지는중인 주식ㅣKBS 220620 방송 - YouTube

    출연 : 이종우 이코노미스트

    부동산관련 의견 청취

     

    유동성에 의해서 올랐던 주식과 코인은 이미박살났다.

    부동산에 대한 향후 시각은??

     

    부동산은 앞으로 하락으로 방향이 서있다. 부동산은 한번 가격이 꺽이면 30~40% 빠진다.

    부동산이 빠지면 나라 경제 전체적으로 문제가된다. 전세계 모든국가가 부동산이 국가적으로  제1의 자산이기 때문이다.

    유동성에의해서 가격이 상승한것은 유동성이 끝나면 원래가격으로 돌아온다

    주식도 이미 그리되었고 부동산도 똑같이 적용될것이다.

    서울의 아파트 값이 40%가량 상승했으니 그 정도 수준으로 돌아올것으로 보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8% 갈 수 있느냐??

    답)연준의 금리 인상정도에 달려 있다.

    미국이 4%정도 기준금리 만들다면... 우리도 어느정도 맞춰서 인상해야 하기때문에

    우리도 7%정도 까지의 금리 수준은 갈 수 있다고도 본다.

    그렇게 되면 굉장히 부담이 큰 수준이다. 집값도 내려갈것이고..엄청 고통스러운 순간이 될것이다.

     

     

    가장 걱정하는 것중에 하나는

    이러다가 가장 큰 위험이 신흥국의 위기에서 끝나지 않고 우리나라등의 선진국에도 영향을 주지않을까 걱정이다.

    이런 금리인상에 휘청하다 무너지면 금융위기가 올수도 있다.

    과연 이렇게 빠르게 금리인상하는 것을 이겨낼 수 있겠는가??

    미국의 0.25 기준금리에서 4% 금리가 되는데 ...1년사이에 12배가 되는데 이충격은 굉장히 큰것이다. 이것을 받아낸적이 있었는가? 과연 아무런 문제 없이 넘어갈 수 있겠는가? 연준의 정책능력도 의문이다.

     

     

    인플레 잡는 방법은 금리 말고 없는가? 

    중국수입관세.. 양적긴축을 더 사들여서 회수 등 다른 방법도 있을것 같은데 다른의도가 있을까?

    답) 연준이 다른의도를 가지고 있다고 보기에는 너무 위험한 시기이고, 중국관세는 잘못을 인정하기 쉽지 않을 자존심 문제이고... 금리를 인상하는 경험치가 있어서.... 금리로 잡는게 최고의 방법으로 생각하는 듯하다.. 그런데 금리인상하고 컨트롤해본 경험이 별로 없다는게 문제이다.

     

     

     

    주식. 코인. 부동산의 거품이 터지는 시기이다.

     

    개인투자자들에 대한 조언은?

    답)전체자산중에 부동산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내려올 만큼 내려온것 같다.

    지금부터는 감정적인 대응은 하지말아라. 주식을 가지고 있는것 자체가 괴롭다고 파려하는뎅.. 그러지 마라.

    아무런 대응을 안하는것이 ..관망하라.

     

    지금 사야 하는 시기인가?? 떨어지는 칼날은 잡지 마라는 격언이 있다.

    더이상 내려가는것을 확인하고 그때 사는 것도 늦지 않다고 본다.

     

    부동산 세금깍아주는것이 부동산 가격하락을 막는 것에는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 세금을 깍아준다고 할때 부동산을 파는것이 가장 효율적인 대처이다.

     

     

    한줄 요약 : 주식시장은 이미 거품이 꺼질 만큼 많이 내려왔다. 관망하는게 좋은 선택일 수 있다..

    부동산은 하락의 시작장이다. 하락은 30~40% 하락하면 멈출 것이다. 부동산 위험에 대해서 대비 하자.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